본문 바로가기
My story/정치학(Politics)_Aristoteles

민주정치에는 네 가지 유형이 있다~

by 지혜로운이 2019. 6. 6.
반응형
BIG

 안녕하세요~ 오늘은 민주정치의 네 가지 유형이 있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이 4가지의 유형을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어요!! ^^

출처 : Pixabay.com/wealthy

  1. 농민이나 중산층이 정체에서 최고의 권력을 갖게 된다면 그들은 법에 따라 다스릴 것입니다. 왜냐하면, 노동으로 살아 가기 때문에 여가가 없어 민회는 필요한 경우에만 소집하고 나머지는 법에 의해 지배를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죠.
  2. 가문에 근거하였을 경우, 가문에 결격 사유가 없는 자는 누가나 다 국정에 참여하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은 되지만, 실제로는 필요한 여가가 있을 때만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법이 최고 권력을 갖게 되는데, 시민들에게 수당을 지불할만한 세입이 없기 때문이죠.
  3. 자유민이 국정에 참여할 권리가 있기는 하지만 재원 부족이라는 이유로 실제로 참여하지 못할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법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4. 국가 규모가 확대되고 세입이 증가하며 여가를 갖게 되었을 때 정치활동에 참여는 법이 아닌 빈민 대중이 정치에서 최고권력을 갖게 된다는 것으로, 빈민대중은 여가 시간이 가장 많죠. 사유재산을 돌보느라 방해 받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부자들을 사유재산 돌보느라 방해받아 민회, 재판 참석 못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 Pixabay.com/wealthy

 이렇듯 4가지의 민주주의 정치형태를 알아보았는데요. 이와 같은 4가지 유형을 보았을 때 현 상황을 잘 말해 주기도 합니다. 오늘날 자유민주주의 형태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를 통해 노동을 하고 여가 시간이 있고 없고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를 종합해 볼 때는 어떠할까요?

  1. 중산층이 정치에서 최고 권력을 갖게 될 때는 법의 지배를 잘 받게 됩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 노동으로 살아가기 때문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것에 필요로 하는 것은 돈이기 때문에 돈을 벌기 위해서 법에 위배되지 않는 직장을 구하고, 직장을 통해 수입이 생기면서 여가를 즐기게 되는데, 이는 정치와 세상을 바라보기 보다는 내 삶에 더 충실하기 때문에 법의 지배를 필연적으로 따라가고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오늘날 가문이라기 보다는 재벌들을 바라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들은 국정 참여는 법적으로 허용되지만, 그들의 사유재산을 지키기 위한 세법에 세계 정세에 관심을 갖지 실제로 국가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들은 법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여가라기 보다는 필요에 의한 자기방어가 중심을 이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에게 직원 고용은 수당을 지불하는 것 외에 수입이 아닌 회계장부에서의 지출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3. 자유민이 국정에 참여하는 것에 있어서는 재원 부족이라는 이유로 실제로 참여하는 횟수는 극히 드물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국정에 참여하는 것에 있어 인구수가 많은 것에 있어서 직접민주주의가 아닌 간접민주주의를 띄고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자유민이라는 것은 시민을 지칭한다 할 수 있는데, 앞서 1번에서 말한 것과 같이 자신의 삶에 더 충실하게 살아가기 때문에 법의 지배를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국가 규모의 확대 및 세입 증가는 빈민 대중이 정치에서 최고권력을 갖게 되는 것에 있어서 말할 수 있는 것에는 바로 민중선동가를 말하고 싶습니다. 민주주의에서 가장 큰 문제는 민중선동가에 의한 파시즘 효과라고 제가 지칭을 하였는데요. 오늘날 융합보다는 이데올로기적 이념 대립을 조장을 합니다. 그들은 여가시간이 많은 사람들로써, 정말 바쁜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들에게 여가시간이 많다는 것은 일을 하지 않는다거나, 그 외 비판적인 사고라기 보다는 사회의 불안을 조장하고 대립을 심화시키는 사람들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작성을 하지 않더라도 아실 분은 아실 것입니다.

출처 : Pixabay.com/yesno

 이렇게 민주주의 4가지 형태를 작성하면서 제 생각도 함께 적어보았습니다. 민주주의 형태에서 4가지 형태를 읽어보고 오늘날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시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라며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