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FTA체결 발판 마련, 수자원 및 석유화학 플랜트 협력 기대!
이집트와 FTA체결 발판 마련.
아프리카 대륙 연결 시너지
비전 2030 정책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산업분야 집중 투자
안녕하세요. 공준성 나자로(Lazarus Kong)입니다. 정책브리핑(청와대) 출처자료를 통해서 한국과 이집트 양국 간 FTA체결 발판 마련했다는 소식과 함께 아프리카 대륙으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의 하나의 경제 블록체인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식 방문 중에 있는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압델 파타 알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협력 증진 방안, 한반도와 중동 지역 정세, 글로벌 이슈 등 폭넓은 의견을 서로 교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집트 방문 자체가 우리 정상으로서는 역대 두 번째, 2006년 이후 16년 만에 이루어진 것이며, 첫 아프리카 대륙 방문에 속한다. 특히,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등 국제물류 요충지이자 광대한 FTA연결망을 갖춘 국가로써 우리나라와 전략적 경제 협력 파트너십 기반 확대를 기대하고 잠재력이 큰 국가로 알려졌다. 더불어 '비전 2030' 정책 아래 신재생 에너지 등 미래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와 함께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거버넌스 등 확대 중점 추진 중에 있는 이집트는 한국을 국가발전의 롤 모델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양 정상 간, 이번 정상회담 계기 체결하는 '무역경제 파트너십 공동연구 MOU'를 통해 향후 한-이집트 FTA체결을 위한 발판 마련한 것으로 평가, '룩소르-하이댐 철도 현대화 사업' 등 이밖의 이집트 교통 인프라를 중심으로 해수 담수화/수자원/석유화학 플랜트까지 협력 확대하여 나가자는데 합의를 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현재 이집트가 올해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인 COP27 의장국으로써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고 있음을 평가하는 바, 국제 사회의 의지 결집을 위한 우리나라의 기여 의사를 표명했다는 사실이다. 한국의 대통령과 이집트의 대통령은 한국의 '지역균형 뉴딜'과 이집트의 '인간다운 삶 이니셔티브' 간 유사 정책적 지향점이 공통된 점을 인지하고 이집트의 신행정수도 건설, 지역경제 발전, 공공거버넌스 역량 강화 등 양국 협력 확대해 나아가자는 양국 정상 간의 방침에 저번 사우디와의 '수소 경제 블록'에 대한 기대에 이어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체인'을 가동한다는 사실에 세계 속의 경제 분야의 대한민국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바라 필자는 생각하고 있다.
대한민국과 이집트의 win-win 전략
[청와대 정책브리핑 자료 출처]
이집트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향후 5년간(2022~2026) EDCF차관 10억 달러 한도 신규 설정.
-교육, 인프라 양국 개발 협력 지속.
대한민국
-우주/해양/국방 및 방산/문화재 보존,관리/ 인적교류 확대 등 협력 기대.(대기업 및 고고학 분야 성과 기대)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지지 요청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 의사 확인.
정상회담 종료 후 양 정상 임석 아래 무역경제 파트너십 공동연구 양해각서 등 4건 문건 체결.
쉽게 말해 대한민국의 경제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이집트와의 무역 간 차관 협력 체결을 통해 이집트는 한국의 투자금을 통한 이집트 내의 인프라 시설 및 내부 투자를 할 수 있는 자금의 여유를 만들 수 있다는 점과 함께 대한민국은 이집트로부터 아프리카 강대국의 한 축과 함께 건설/방산/문화재(고고학)과 함께 세계박람회 및 한반도평화 프로세스 대한민국의 장기프로젝트의 지지를 받는 부분에 있어 UN 국제기구에서의 표심을 얻는 하나의 아프리카, 중동(사우디) 동맹체를 얻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대륙 공동체를 이끌어 나갔다는 점에서 필자는 성공적인 외교라고 평가하고 싶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륙 경제 프로젝트 또한 아주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선 아프리카 및 중동의 전통적인 강대국과의 협력은 그들의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적장의 머리를 치면 전쟁에서 승리를 하는 것과 같이 이집트 및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국가와의 대한민국 양국 간의 협력을 통해서 아시아의 머리는 대한민국, 아프리카의 머리는 이집트, 중동의 머리는 사우디아라비아를 통해서 UN국제회의 기구에서 강력한 리더십 국가로의 인정과 인접국가들을 이끌어 미국과 유럽을 대항할 수 있는 점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한편의 경제적 파트너십에 따른 우리나라의 기업의 수출길을 끌어올리는 전략만이 아닌 큰 하나의 대륙공동체의 모습을 띄는 그 부분까지 생각하게 된다면 아주 좋은 외교적 전략이었다 생각된다. 이상. 끝.
2022.01.19 - [세계는 지금, 국제정치 및 국내정치 자료/정부정책] - 사우디 스마트시티 건설, 한국 기업 "수소인프라"
'Economy > 국제정치 및 국내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뉴스] 이재명, 윤석열 中 과연? 안철수 단일화 추진을 왜했을까? (0) | 2022.03.05 |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대한민국과 우크라이나의 유사점과 차이점. [공준성 나자로 생각 Lazarus Kong] (3) | 2022.03.03 |
남북경협, DMZ 광물자원 개발 정보들 모음. 북한이 희토류 세계 1위 매장량 (0) | 2022.01.13 |
대한민국과 V4(헝가리/슬로바키아/체코/폴란드) 유라시아 대륙의 길 열리나?! (0) | 2021.11.07 |
국민지원금 88% ▶ 90%까지 지급한다?! 국민지원금 문제... (0) | 2021.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