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시장상황

8월10일 미국경제전망, 미국국채와 신흥국 경제, 코로나 관련사항 종합.

by 지혜로운이 2020. 8. 10.
반응형
BIG

 안녕하세요. Lazarus Kong입니다. 오늘의 시장상황에 관하여 간략하게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자본주의 완성시킨 아버지 미국의 시장경제 상황과 신흥국 경제 상황, 미국과 중국의 통화정책 등과 코로나 여파에 따른 해외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현 주식 및 금, 유가 등 관련하여 종합적인 지표를 잘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는 국제금융센터의 리포트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국제금융센터 리포트 미국 국채 및 시장현황.

1. 미국 및 신흥국 경제

 1)7월 미국 고용통계는 실업급여 특례 만료 효과를 반영치 못해 미흡함, 경제활동 재개 결과로 긍정적인 이슈도.

 -미국 경기는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추정되나 잠정적인 저하 요소가 상존하고 있다는 점을 갖기 바람.

 -미국의 재정부양 협상에서 양당(민주당/공화당)의 합의가 도달하지 못한 주된 이유는 주 및 지방정부 지원을 두고 공화당의 반대가 심했기 때문. 재협상 부문에서도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나 협의는 쉽지 않을 것.(트럼프 독단적 행위 시작?) 10월 내년 정규예산 편성까지 양당의 교착상태가 지속될 시 대선 목전에서 일부 정부기능이 셧다운될 가능성 높음.

 -미국의 일자리 창출 속도가 자연스럽게 완만해졌으며 이는 재개방 이후 초기 경제활동이 반등한 상황에서 벗어났기 때문. 고용시장이 완전하게 회복까지는 요원하지만 진전을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라 봄.(BOA)

 

 2)중국의 7월 수출이 예상보다는 높은 증가율을 보임. 부분적 세계경제와 수요의 회복을 반영했다.

 3)신흥국이 선진국보다 높은 성장을 보였던 흐름은 보호무역주의 등에 따른 구조적 취약성으로 더 이상 유효하지 못함.

 4)인도 중앙은행의 부실채권 조정 계획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의문스러움.

 5)터키 리라화 가치 급락은 중앙은행의 미국 달러화 보유 감소와 경제기초여건 저하 등에 기인.

 

2. 미국과 중국의 통화정책

 1)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일시 상회해도 용인한다는 입장. 선제적 금리조정 필요성 저하.

 -시장은 연준이 장기간 금리인상이 어렵다고 인식되나 초저금리가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영향도 주지 못한다. 

 2)코로나 펜더믹 위기 상황에서 주도적 세계 유동성 공급에 최종 대부자로서 역할 수행.

 3)미국과 중국은 무역 갈등 속 통화정책에서는 상반된 기조를 유지. 

 -중국은 자본유출 문제로 추가 부양책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임.

 

 미국 정부의 캐리 람 행정장관 등 홍콩 고위관리 11명에 대한 제재 발표가 Citibank, American of Bank, JPMorgan 등 미국 IB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 달러화 대신, 위안화/파운드화/유로화 등 타국 통화 거래량을 늘리는 방안으로 미국의 제재에 맞설 수 있을 것.

 

3. 미국(美國) 국채 금리

 1)최근 미국 국채금리 하락은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 추가 부양책 지연과 코로나 2차재확산 우려 등에 주로 기인.

 -국채 가격 상승은 연준의 대규모 자산 매입의 영향이 큼, 연준의 정책 기조를 고려 시 관련 흐름은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

 2)상당 기간 초저금리가 지속된다는 전망이 확산됨과 동시에 30년물 국채금리가 1%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 존재.

 -미국 10년물 국채 실질금리의 하락은 강력한 통화정책 완화 기대와 거시경제 여건의 악화 등을 반영.

 3)독일에 비해 미국의 국채금리 하락폭이 큰 이유.

 양국 간 코로나 19 대응 차이에 있으며, 유럽의 회복기금 조성 등의 정책 결과에 따른 관계로 볼 수 있음.

 [참고자료:국제금융센터 Report]

728x90
반응형